하나님은 실제로 존재하는가?
답변:우리는 하나님이 세 가지 방법을 통해 우리에게 자신을 나타내셨기 때문에 그분이 실제로 존재하신다는 것을 압니다. 그 세 가지는 피조물, 그분의 말씀 그리고 그분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입니다.하나님의 실존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증거는 그분이 창조하신 만물입니다. “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가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려졌나니 그러므로 그들이 핑계하지 못할지니라”(롬 1:20). “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의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내는도다”(시 19:1).만일 당신이 들판 중앙에서 손목시계를 발견한다면 그것이 그냥 난데없이 ‘나타났다’거나 그것이 그곳에 항상 있었다고 추정하지는 않을 것입니다. 그 시계의 설계도에 근거해 그것을 만든 사람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할 것입니다. 그러나 우리가 사는 이 세계는 보다 더 정밀하고 훌륭한 설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우리는 손목시계가 아닌 하나님의 작품을 근거로 시간을 측정합니다. 즉 하나님의 걸작품인 지구의 일정한 자전을 근거로 합니다. (또한 세슘-133 원자의 방사능 특성에 근거합니다). 우주는 위대한 설계도로 이루어져 있고, 이는 그만큼 위대한 설계자가 있다는 것을 논증합니다.당신이 암호화된 메시지를 발견했다면 그 암호를 해독하려고 할 것입니다. 암호 메시지를 생성한 어느 똑똑한 발신자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할 것입니다. 우리 몸의 모든 세포 안에 있는 DNA 암호는 또 얼마나 복잡합니까? DNA의 복잡함과 목적은 그 암호의 지적인 창작자가 있다는 사실을 논증하는 것이 아닙니까?하나님은 복잡하고 정교한 물리적 세상을 만드셨을 뿐만 아니라 각 사람의 마음속에 영원에 대한 갈망을 넣어주셨습니다(전 3:11). 본능적으로 인간은 인생에 눈에 보이는 것 이상의 것이 있고 세상 일들보다 더 높은 존재가 있다는 것을 인식합니다. 영원에 대한 우리의 갈망은 적어도 두 가지 방식으로 나타납니다. 입법과 예배입니다.역사를 거치면서 모든 문명은 어떤 도덕적 법규들을 소중히 여겨왔는데 놀랍게도 그 법규들은 각 문화 사이에 유사성을 갖고 있습니다. 예를 들면 거짓말하는 행위는 보편적으로 비난을 받는 반면 이상적인 사랑은 보편적으로 존중을 받습니다. 이러한 일반도덕(옳고 그름에 관한 보편적인 이해)은 우리에게 분별력을 주신 최고의 도덕적 존재를 가리킵니다.마찬가지로 전 세계 사람들은 문화를 막론하고 항상 ‘예배’를 추구해왔습니다. 숭배의 대상은 다양합니다. 그러나 인간이 “더 높은 능력”이 존재함을 안다는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. 예배하려는 우리의 성향은 하나님이 “자기의 형상대로”(창 1:27) 우리를 만드셨다는 사실과 일치합니다.또한 하나님은 그분의 말씀인 성경을 통해 자신을 계시하셨습니다. 성경은 전반에 걸쳐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말합니다(창 1:1; 출 3:14). 벤자민 프랭클린은 자서전을 쓸 때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려고 시간을 낭비하지 않았습니다. 마찬가지로 하나님은 자신의 책에서 자신이 누구인지를 증명하려고 시간을 허비하지 않으십니다. 삶을 변화시키는 성경의 특성, 그 자체의 진실성 그리고 성경에 나타난 기적들은 충분한 타당성이 있습니다.세 번째로 하나님은 그분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자신을 드러내셨습니다(요 14:6-11). “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…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”(요 1:1, 14; 골 2:9).예수님은 그의 놀라운 생애를 통해 구약의 모든 율법을 완벽하게 지키셨고 메시아에 관한 예언들을 성취하셨습니다(마 5:17). 그분은 자신의 메시지가 진짜임을 증명하고 자신의 신성을 입증하기 위해 수없이 긍휼을 베푸시고 공적인 기적들을 행하셨습니다(요 21:24-25). 그리고 십자가형을 당한 후 삼일 만에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셨고, 수백 명의 목격자들이 있습니다(고전 15:6). 예수님이 누구인지 ‘증거’하는 역사적인 기록은 아주 많습니다. 이에 사도 바울은 “이 일은 한편 구석에서 행한 것이 아니로소이다”(행 26:26)라고 말했습니다.하나님에 관한 각자의 소견에 따라 증거들을 제멋대로 해석하는 회의론자들이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압니다. 그리고 아무리 많은 증거를 보여줘도 설득되지 않는 사람들도 있을 것입니다(시 14:1). 이 모든 것은 믿음의 문제로 귀결됩니다(히 11:6).